본문 바로가기

그 땐 Programming Languages했지/그 땐 JAVA했지

[self-study/생활코딩] Ch8. | ① 변수의 정의 ② 변수의 효용 ③ 데이터 타입의 변환(casting)

728x90

참고자료: Youtube - 생활코딩 JAVA1

 

변수의 정의
public class Variable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int a = 1; //Number -> integer(정수) 
		double b = 1.1; //real number -> double(실수) 
		String c  = "Hello World";
	}

}

✍🏻 왜 값을 넣을 때마다 변수의 타입을 정해야 하나?
     다른 타입의 데이터가 들어가지 않으므로 꺼낼 때마다 불필요한 확인을 하지 않아도 된다.

 

변수의 효용
public class Letter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String name = "Yeram";
		System.out.println("Hello " + name);
	}

}

👉🏻여기저기 사용된 값을 한 번에 고칠 수 있다.
👉🏻해당 코드의 취지를 변수명을 통해 알 수 있다. 

 

데이터 타입의 변환(casting)
public class Casting {
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double a = 1.1;
		double b = 1;
		System.out.println(b); // 1.0 -> 자동으로 정수를 실수형으로 변환해준다.(잃는 x)
		
//		int c = 1.1; //error -> 자동으로 정수형으로 바꾸면 잃는 것이 있어 자동 변환x 
		
		String d = Integer.toString(1); //정수를 문자열로 변환한다.
		System.out.println(d.getClass());//class java.lang.String
		
	}

}

📌Casting: 데이터 타입 변환

👉🏻double에 정수형 값을 넣어도 자바가 자동으로 형변환을 해준다. 하지만 int에 실수값을 넣은 것은 값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변환해주지 않는다.
✍🏻.toString: 데이터 타입을 문자열로 바꿔준다.

728x90